조혜련·박준형·신봉선 등 추모 글 이어져…김영철 라디오서 눈물 참아
양희은 "55년 지켜봐, 잘 가요 유성이 형"…이경실 "오빠의 삶 멋졌다"
부코페 측 "한국 코미디 새로운 지평 열어…발자취 역사에 남을 것"

개그맨 박준형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사진 일부
[박준형 SNS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고가혜 기자 = '개그계 대부' 전유성이 25일 세상을 떠나자 코미디계가 깊은 슬픔에 빠졌다. 별세 이튿날에도 연예계 동료들이 고인의 부재를 안타까워하며 추모의 마음을 전했다.
개그맨 박준형은 25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지난 6월 코미디언들이 쓴 책으로 남산도서관에 서가를 만드는 행사가 있었다. 전유성 선배님의 아이디어였다"며 "공식석상에서 축사를 하시는데 어지럽다고 손잡아 달라고 해서 말씀하시는 내내 부축해드렸던 기억이 난다"고 떠올렸다.
이어 "손은 가늘고 야위었으나 말씀하시는 기백과 유머는 참 대단했다. 그게 불과 석 달 전"이라며 "오늘따라 참 삶이 짧다. 그래도 웃음은 길게 남기셨으리. 이제 선배님 좋은 곳에서 편히 쉬시길"이라고 적었다.
개그우먼 이경실 역시 26일 SNS를 통해 故 전유성과의 마지막 대화를 전했다.
그는 "우리 코미디계, 개그계의 거목 큰오빠가 돌아가셨다"며 "수요일 녹화 끝나고 지금이 아니면 늦을 것 같다는 생각에 전북대병원에 오후 5시 30분쯤 도착해 보니 오빠의 가족 딸, 사위와 함께 후배 김신영이 옆에서 떠나질 않고 물수건을 갈아가며 간호하고 있었다"고 떠올렸다.
이어 "오빠와 짧지만 깊은 얘기를 나눴다. 전유성은 '와줘서 고맙고 난 너희들이 늘 자랑스럽다. 건강해라'라는 등 한 마디라도 내게 더 전하려 애쓰셨다"며 "수고하셨다. 오빠의 삶은 멋지고 장하셨다. 이제 아프지 마시고 편안하게 잠드시길 바란다"고 추모했다.
조혜련은 같은날 SNS에 고인과 함께 찍은 사진을 올리며 "유성 오빠의 손을 잡고 간절히 기도할 수 있어서 감사했고, 기도 끝에 오빠가 '아멘'을 한 것에 감사했다"며 "힘든 국민들이 웃을 수 있게 개그를 만들어줘서 감사하다. 존경한다. 사랑한다. 천국에서 다시 만나자"고 적었다.
고인이 발굴한 제자 중 한 명인 신봉선은 자신의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아무 언급 없이 검은색으로 채워진 배경을 올려 깊은 슬픔을 표했다.

생전 개그우먼 이경실과 방송을 진행하던 故 전유성
[이경실 SNS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개그맨 김영철은 이날 오전 방송된 SBS 라디오 '김영철의 파워FM'에서 고인의 별세 소식을 전하며 눈물을 참았다.
김영철은 "안타까운 소식이다. 우리에게는 영원한 선배님인데 소식을 듣고 마음이 그렇더라. '개그콘서트'를 같이 했고, 신인인 제게 책 세 권을 사주셨던 선배님"이라며 "작년에 찾아뵙긴 했었는데, 여러 가지 생각이 드는 아침이다. 좋은 곳에서 편히 쉬시길 기도하겠다"고 말했다.
전유성과 오랜 인연을 쌓아 온 연예계 인사들의 추모도 이어졌다.
가수 양희은은 SNS를 통해 "잘 가요 유성 형. 1970년 청개구리에서 첫 무대를 본 사이, 55년을 지켜본 사이"라며 "며칠 전 뵐 때만 해도 마지막일 줄 몰랐다. 회복되면 제일 먼저 찾아오겠다고 약속했는데"라며 고인을 애도했다.
전유성이 명예위원장으로 있었던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부코페) 측에서도 장문의 추모문을 올렸다.
부코페 조직위원회는 "대한민국 개그계의 큰 별, 전유성 선생님께서 우리 곁을 떠나셨다"며 "선생님은 언제나 '최초'라는 수식어와 함께, 늘 새로운 길을 개척해 온 한국 코미디의 선구자셨다"고 밝혔다.
이어 "선생님은 '개그맨'이라는 명칭을 직접 창시하시고, 한국 최초의 공개 코미디 무대와 개그 콘서트 실험 무대를 선보이며 한국 코미디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며 "특히 아시아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코미디 페스티벌인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이 만들어지는 데 주춧돌이 돼 주셨고, 한국 코미디가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앞장서 전파하셨다"고 했다.
아울러 "방송과 무대를 오가며 수많은 명장면을 남기셨을 뿐만 아니라, 수많은 후배 개그맨들에게 든든한 스승이자 멘토로서 영감을 주셨다"며 "선생님의 발자취는 한국 코미디 역사 속에 길이 남을 것"이라고 추모했다.
전유성은 지난 25일 오후 9시 5분 폐기흉 증세가 악화해 입원 중이던 전북대학교병원에서 7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빈소는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으며 장례는 희극인장으로 치러진다.
gahye_k@yna.co.kr